고대 영지주의와 신흥영성

2014.03.16 17:41

이상문목사 조회 수:4725

고대 영지주의와 신흥 영성


고대 영지주의는 다양한 운동이기에 간략하게 정의하기 힘든다 이 운동의 다양성은 배경 사상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동양 신지학, 그리스 철학의 사유, 신비주의적인 유대교 등에서 왔다. 영지주의는 변모되고 진행하면서 기독교 사상을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기독교 신앙을 자신의 큰 체제 속에 통합시키려 했다.

사회변화와 극심한 불확실의 시기 곧 로마제국의 문화가 활력을 잃은 시기, 유력한 세계관이 붕괴된 시기, 영적인 것에 대한 추구자체가 극에 달한 문화 붕괴에 대한 하나의 타개책이나 탈출구로 제시된 시기에 이런 영지주의 운동이 생겨났다. 이런 환경은 인식의 천정이 무너지고 진리와 윤리의 바탕이 소멸되고 향략주의와 방종으로 만연한 오늘날 현대 서구 사회에도 비슷하다.

영지주의가 초대 교회에서 특히 성가신 문제가 되었는데 영지주의의 기발한 착상으로 사람들이 열광했기 때문이 아니라 영지주의의 관념이 이미 고대 세계에 스며들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히려 영지주의 관념이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우며 친숙하게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오늘 현대화된 사회 조직, 뿌리내린 계몽주의가 비교적 자율적인 자아를 만들어내었다. 외부의 권위에 복종하지 않는 자아요, 모든 실재가 귀결되는 자아다. 이것은 철저히 사유화된 관점과 뚜렷이 치유중심적인 경향을 가진 급진적인 개인주의를 초래했다. 이 모든 것이 신흥 영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토양을 사회 전반에 조성해 왔다. 그것은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오늘날 교회가 신흥 영성에 항쟁하기 어렵다.(웰스의 '위대하신 그리스도' 4장에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 현대인의 정체성 상실의 모습 이상문목사 2013.12.15 9896
107 철학적 허무주의와 문화적 허무주의의 공통점과 차이점 이상문목사 2014.04.13 6477
106 성경이 말하는 명예와 수치 이상문목사 2014.01.05 5411
105 현대인이 ‘인격’보다 ‘개성’을 강조함으로 결과는? 이상문목사 2013.12.01 5398
104 자연 이성외에 궁극적인 세계로 들어갈 수 있는 두 가지 대안 이상문목사 2014.05.04 5388
103 인간본성의 실종 이상문목사 2014.02.09 5374
102 개방적 유신론과 포스트모더니즘적 사고방식 이상문목사 2014.06.22 5351
101 전도서에 나타난 삶의 무의미성과 구원론적인 면 이상문목사 2014.04.27 5350
100 희망을 상실한 수감자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적 허무주의자 이상문목사 2014.04.20 5328
99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교회를 향해 요구하는 것 이상문목사 2014.09.29 5263
98 윤리가 실종된 대표적인 세 가지 사례 이상문목사 2014.01.19 5260
97 신흥 영성 현상의 중심과 심리학 이상문목사 2014.03.02 5242
96 전통주의 영성과 포스트모더니즘 영성의 큰 차이점 이상문목사 2013.11.10 5217
95 신학실종 이상문목사 2013.08.19 5175
94 십자가 사역에서 나타낸 이미지 이상문목사 2014.05.25 5117
93 포스트모드니즘의 세 가지 특징 이상문목사 2014.02.23 5111
92 자아숭배의 심각성과 문제점 이상문목사 2014.01.19 5111
91 피녹의 개방적 유신론의 중요한 세 가지 이상문목사 2014.06.15 5105
90 하나님의 나라와 예수님의 관계 이상문목사 2014.05.18 5081
89 ‘구도자 중심교회’ 또는 ‘마케팅 교회’가 생겨나게 된 다섯 가지 이유 이상문목사 2014.08.03 50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