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적 이야기인 구속사의 특징과 구속사의 중심 줄거리


하나님에 대한 성경적 생각이 중요하다. 교회에서 신학을 회복할 수 있는 것은 현대화된 우리 문화의 주체 편집증에서 자신을 해방시켜 그 대신에 성경적인 객관적 관점사에 집중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초대 교회 시대에 회심한 이교도들이 발견한 그런 해방이다. 그런 변화를 이루고 그 진리를 우리 자신의 것으로 삼기 위해 어떤 사고 습관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가?

성경적 이야기 형식의 중요한 요소는 1)성경의 이야기는 역사 속에서 움직여 나가는 이야기다. 2)그 이야기 의미는 그 사건에 깃들어 있지만 하나님이 제공하셔야 한다. 3)그러므로 성경 이야기의 의미는 완성되기까지는 완전하게 알 수 없다. 종말론이 그 이야기의 의미에 필수불가결하다는 말이다.

성경의 기록자들은 역사를 위협적인 것으로 보지 않았고 무가치한 것으로 보지 않았다. 역사를 구속의 마당으로 보았다. 세 가지 사건으로 하나님은 자신의 의도를 계시하셨다. 아브라함을 불러내신 일, 출애굽 사건, 다윗 왕조의 성립이다. 이 사건들은 사도 바울로 하여금 그리스도가 바로 하나님의 최종적이며 극치를 이루는 구속 역사상의 행동이라는 믿음을 정당화할 수 있게 했던 틀을 제공했다. 이 구원사는 하나님의 행하심과 구속의 목적에 대한 일종의 해석된 이야기다. 이런 점에서 독특하다. 세 개의 큰 사건은 구약 성경에서 하나님과 그 분의 사역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공적인 틀이다. 신약 성경에서그리스도의 성육신과 죽으심과 부활과 재림은 이 사건들 각각의 최종적인 결실을 이끌어낸다. 우리가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는 것도 그리스도 안이며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도 그리스도 안이며 우리가 하나님의 백성이 되는 것도 그리스도 안에서다. 이 구속사는 그리스도의 부활 안에서 완성되고 선포된다.

역사적 사실이 기초이다. 그리고 그 사실을 액면 그대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그 사건들의 의미를 옮기는 것이다. 그리고 그 사건과 의미를 결합을 통해 이스라엘의 신학이 형성되었다. 그 신학이 심장에 놓여야 할 신학이었다.(웰스의 신학실종의 7장에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 현대인의 정체성 상실의 모습 이상문목사 2013.12.15 9896
107 철학적 허무주의와 문화적 허무주의의 공통점과 차이점 이상문목사 2014.04.13 6477
106 성경이 말하는 명예와 수치 이상문목사 2014.01.05 5411
105 현대인이 ‘인격’보다 ‘개성’을 강조함으로 결과는? 이상문목사 2013.12.01 5398
104 자연 이성외에 궁극적인 세계로 들어갈 수 있는 두 가지 대안 이상문목사 2014.05.04 5388
103 인간본성의 실종 이상문목사 2014.02.09 5374
102 개방적 유신론과 포스트모더니즘적 사고방식 이상문목사 2014.06.22 5356
101 전도서에 나타난 삶의 무의미성과 구원론적인 면 이상문목사 2014.04.27 5350
100 희망을 상실한 수감자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적 허무주의자 이상문목사 2014.04.20 5328
99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교회를 향해 요구하는 것 이상문목사 2014.09.29 5267
98 윤리가 실종된 대표적인 세 가지 사례 이상문목사 2014.01.19 5260
97 신흥 영성 현상의 중심과 심리학 이상문목사 2014.03.02 5242
96 전통주의 영성과 포스트모더니즘 영성의 큰 차이점 이상문목사 2013.11.10 5218
95 신학실종 이상문목사 2013.08.19 5175
94 십자가 사역에서 나타낸 이미지 이상문목사 2014.05.25 5119
93 포스트모드니즘의 세 가지 특징 이상문목사 2014.02.23 5111
92 자아숭배의 심각성과 문제점 이상문목사 2014.01.19 5111
91 피녹의 개방적 유신론의 중요한 세 가지 이상문목사 2014.06.15 5108
90 하나님의 나라와 예수님의 관계 이상문목사 2014.05.18 5083
89 ‘구도자 중심교회’ 또는 ‘마케팅 교회’가 생겨나게 된 다섯 가지 이유 이상문목사 2014.08.03 5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