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윤리실종의 증거


1)심리학자 린드는 교사와 부모들이 자녀 교육에서 죄의식이 일정한 역할을 맡아온 윤리체계를 포기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더 이상 ‘착하다’라는 소리를 듣지 않는다. 린드는 오늘날 ‘착한’과 ‘나쁜’이란 표현은 ‘성숙한’과 ‘미숙한’, ‘생산적인’과 ‘비생산적인’, 사회적으로 ‘적응한’과 ‘부적응한’ 등의 표현으로 바뀐 실정이라고 말한다.

2)이런 과정에서 언어는 윤리적인 비전이 희미해져 가는 현실을 끊임없이 보여준다. 이제 낙오자가 아니라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사람일 뿐이다. 나쁜 짓을 한 것이 아니라 그저 부적당한 일을 한 것뿐이다. 인격에 대해 말하지 않는 대신에 개인의 생활방식에 대해 말하면서 난처한 윤리적인 평가를 교묘히 모면한다. 마약 중독자가 아닌 약물 남용자만 표현되어 불법적인 것도 스스로 윤리적인 평가를 피해간다. 윤리적인 언어는 윤리의 각도에서 생각지 않으려는 우리의 성향 앞에서 참패했다.

3)윤리 부분이 소멸된 현실, 절대적인 선과 악의 초월감이 소멸된 현실은 세상에서 악인이 제거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현실은 악인들이 하는 행동의 참된 본질에 대해 우리의 판단력을 잃게 할 뿐이다. 우리가 홀로 고립되어 있는 탓에 우리의 악은 평범하고 정상적인 것으로 되어버렸다. 우리 외부에 있는 세계(하나님의 주권적인 질서, 윤리 규범, 사회 계약의 세계)가 움추려들면 우리의 내면세계가 그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확장될 것은 분명하다. 초자연적인 것이 물러나면 자연적인 것들이 촉진되고 객관적인 것들이 사라져서 생긴 공백을 채우기에 주관적인 것들이 팽창한다. 자아의 직관, 감정, 공포, 즐거움만큼 실질적인 것도 없다.(웰스의 '윤리실종' 2장에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 언약 신학의 중요성 이상문목사 2016.10.02 3304
107 맥가브란의 동질 단위 이론의 잘못 이상문목사 2014.08.25 3618
106 복음을 판매하는 마케팅 교회의 잘못 이상문목사 2014.09.07 3737
105 종교와 상업의 융합 현상 이상문목사 2014.08.17 4160
104 영지주의와 이교사상의 차이점과 공통점 이상문목사 2014.03.23 4311
103 근본적으로 상반된 두 가지 삶의 비전 이상문목사 2014.07.13 4367
102 섭리의 개념이 대체되었다. 이상문목사 2014.06.08 4428
101 창조와 구속의 관계 이상문목사 2014.07.07 4444
100 삶에 어떤 절대적인 것이 없다 이상문목사 2014.06.01 4462
99 포스트모더니즘 세계에서 교회가 회복해야 할 것 이상문목사 2014.10.15 4485
98 미국과 유럽의 복음주의의 과거와 미래 이상문목사 2014.07.21 4489
97 현대인의 윤리적인 모순 이상문목사 2013.12.22 4505
96 신흥영성의 실재관과 구체적인 답변 이상문목사 2014.04.06 4539
95 변형된 현대 복음주의 교회의 영성의 특징 이상문목사 2014.09.22 4577
94 자연과 역사에 나타난 하나님의 섭리 이상문목사 2013.10.19 4593
93 현대 문화 속에서 변경된 죄의 개념 이상문목사 2014.01.12 4623
92 전통적인 영성과 포스트모더니즘 영성에 자아는? 이상문목사 2013.11.10 4644
91 기술과 자본주의가 하나님을 실종시켰다. 이상문목사 2014.02.02 4658
90 법은 윤리를 대신할 수 없다. 이상문목사 2013.11.24 4683
89 성경이 정의하는 양심 이상문목사 2014.01.05 4685